관람포인트

About Race

Electrifying Racing

레이싱준비부터 본선까지
E-PRIX 공식트랙에서 진행됩니다

챔피언십 및 순위 [Championship & Standings]


ABB FIA 포뮬러 E 챔피언십은 ‘드라이버 챔피언십’과 ‘팀 챔피언십’ 두 개의 타이틀로 구성됩니다.
드라이버 챔피언십은 시즌 동안 가장 많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에게 주어지며, 그 팀들의 우승은 시즌 동안 팀에 소속된 두 선수의 점수를 합해서 결정됩니다.

포인트 제도 (Point System)

포뮬러 E의 한 경기당 한 선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포인트는 30점이다.
FIA의 기본적인 포인트 제도를 따르며, 폴 포지션 확보와 예선 및 레이스 중 패스티스트 랩 (Fastest Lap Time /가장 빠른 랩 타임)을 달성한 경우 추가 포인트도 주어진다.
폴 포지션(최전방 위치, 1번 그리드)에서 출발하는 드라이버는 3점을 추가로 획득하고, 예선 중 패스티스트 랩타임 달성 드라이버는 1점을 더 받을 수 있다. 레이스 도중 상위 10위권 내의 선수 중 패스티스트 랩을 달성한 드라이버도 1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1등 2등 3등 4등 5등 6등 7등 8등 9등 10등
25점 18점 15점 12점 10점 8점 6점 4점 2점 1점

폴포지션: 3점 / 예선 패스티스트 랩: 1점 / 레이스 패스티스트 랩: 1점 (10위권 이내)

대회 일정 [Race Day Format]

한 E-프리의 일정은 하루 전날 진행되는 셰이크다운을 제외한, 연습, 예선, 본선이 하루에 모두 이루어집니다.

셰이크다운 (Shakedown)

대부분의 E-프리에서는 메인 이벤트 전날인 금요일에 쉐이크다운 세션이 열리지만, 이는 이용 가능한 트랙(도심 서킷)에 따라 달라집니다.
드라이버들은 이 세션을 사용하여 전자 시스템과 경주차의 신뢰성을 점검하지만, 자동차가 저속으로 달리는 만큼 경주차의 전반적인 성능은 점검하지 않습니다.
이 때, 운전자 브리핑을 통해 참가자의 피드백을 고려하여 FIA는 트랙 레이아웃, 연석 및 기능 등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경주차 출력은 110kW로 제한됩니다.

연습 주행 (Practice)

레이스 당일 오전에 진행된다. 45분/30분으로 나누어 두 세션으로 진행하며, 더블헤더 2차전일 경우 45분 단일 세션으로만 진행됩니다.
보통의 연습 주행과 마찬가지로, 본격적으로 트랙을 돌며 트랙에 대한 감각을 얻고 경주차 세팅 등의 전략을 구상합니다.
주행기록을 재기는 하지만 결과에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경주차 출력은 250kW의 최대 출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선 (Qualifying) 및 슈퍼 폴 슛 아웃 (Super Pole shoot-out)

1시간의 세션 동안 현재 챔피언십 순위(시즌 첫 라운드의 경우 전 시즌 순위)에 의해 4개의 그룹(그룹당 경주차 최대 6대)으로 나뉘어진 드라이버들은 각자에게 주어진 6분 동안 기록을 냅니다.
모든 기록이 나오면 상위 6명을 제외한 모든 드라이버의 포지션이 결정되며, 상위 6명의 드라이버들은 폴포지션 및 추가 3점 획득을 위해 '슈퍼폴 슛아웃(Super Pole Shoot-out)'을 진행합니다.
슈퍼폴에서는 예선 6위부터 차례대로 한 대씩 한 번의 플라잉 랩을 돌아 그 기록으로 최종 그리드를 결정합니다.
경주차 출력은 250kW의 최대 출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선 (Race)

본선은 스탠딩 스타트(출발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정지해있다가 시작하는 레이스 방식)로 시작합니다.
E-프리는 정해진 랩 수가 아닌, 내구 레이스처럼 정해진 45분간 동안 지속됩니다.
45분이 지나고 선두가 결승선을 통과하면 마지막 랩이 시작되며, 그 후에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서대로 순위가 매겨집니다.
본선에서의 경주차 출력은 200kW로 제한되며 어택 모드나 팬 부스트 등의 추가 부스트를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부스트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기능을 합해서 경주차는 대회 중 250kW의 최대 출력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단, 세이프티 카 상황이나 풀 코스 황색기 상황 시에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또한 이번 시즌부터 풀 코스 옐로우나 세이프티 카 상황에서 분당 1kWh만큼의 에너지를 의무적으로 소모해야 합니다. 때문에 세이프티 카 상황에서 패널티 없이 어택 모드를 발동하거나 무작정 속도를 줄여 에너지를 일방적으로 아끼는 등의 전략이 차단되어 레이스 전반에서의 전략과 배터리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부스트 종류

어택 모드 (ATTACK MODE)


시즌 5부터 선보인 어택 모드는 모든 드라이버들이 약간의 손해를 감수하고 추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됐습니다.
3번째 랩까지는 사용이 금지되어있으며, 이 부스트를 얻기 위해서는 각 서킷 마다 다양하게 위치한 발동 구간(액티베이션 존)을 통과해야 합니다.
액티베이션 존은 레코드 라인(서킷에서 선수들이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경로)에서 벗어나서 위치하기 때문에 일부러 불리한 경로를 느리게 지나가야 하지만, 이를 통과한 후 일정 시간 동안 35KW의 추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 스피드를 확보한 선수들은 경기에서 더 빠른 속도를 내고 싶거나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싶을 때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택 모드는 발동횟수와 지속시간, 액티베이션 존의 위치는 매 레이스마다 다르며, 팀들이 전략을 긴 시간 동안 연구하지 못하도록 FIA가 경기 한 시간 전에 발표합니다.
어택 모드를 사용할 때는 차량의 헤일로 (사고로부터 드라이버를 보호하는 장치)의 LED에 하늘색 불빛이 들어옵니다.



팬 부스트 (FAN BOOST)


포뮬러 E가 팬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팬들이 직접 경기에 참여해 레이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계에서 하나뿐인, 포뮬러 E만의 특화된 팬 서비스 기능입니다.
레이스 전 포뮬러 E의 해당 페이지에서 팬들이 드라이버에게 투표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5명의 드라이버들은 5초간 사용 가능한 추가출력의 부스트를 얻는다. 어택 모드와는 달리 발동 지점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레이스 시작 22분 후부터 단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FANBOOST 투표는 포뮬러 E의 해당 페이지에서 경기 시작 6일 전부터 경기 시작 후15분까지 가능합니다. 또한 트위터에 해쉬태그를 이용하거나 포뮬러 E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투표도 가능합니다.
팬 부스트는 발동 시 차량의 헤일로가 자홍색으로 빛납니다. 이는 어택 모드와 동시에 사용될 때도 적용됩니다.



경주차 규정 [Formula E car: GEN2]


섀시 및 파워트레인 (Chassis & Power-train)

모든 팀은 스파크 레이싱 테크놀로지에서 만들어진 같은 섀시를 사용하지만, 배터리를 제외한 파워트레인은 규정 안에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는 맥라렌 어플라이드 테크놀로지로부터 독점 공급 받고 있습니다.
지난 시즌 5부터 소개된 2세대 차량 기준으로 차량 최대 출력은 250kW, 최대 속력은 280km/h, 드라이버 포함 최소 중량은 900kg(배터리 385kg 포함)이며 가속력은 제로백이 2.8초입니다.

타이어 (TYRES)

모든 팀이 사용하는 맞춤형 18인치 전천후 타이어는 미쉐린이 공급합니다.
각 라운드마다 2세트 (총 8개) 의 타이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셰이크다운부터 레이스까지 타이어 2세트만으로 운영해야 해서 타이어 마모도 체크 역시 경기 전략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충전 (Charging Times)

경주차의 배터리 충전은 매우 제한 적입니다.
예선과 본선 중에는 물론, 출전 경주차들의 임시 보관 구역(parc ferme) 내에서와 경기 전/후의 경주차 점검(scrutineering) 중에도 금지되어있습니다.
팀은 세션 중간과 연습주행 중에만 배터리 충전이 가능합니다.

출전 자격(e-License)


F1의 슈퍼 라이선스와 비슷하게, 포뮬러 E의 참가선수들은 e-라이선스를 소지해야만 대회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e-라이선스 소지를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준수해야 합니다.

  • 전기 안전 및 포뮬러E 경주차의 특징, 그리고 대회의 기술 및 스포츠적 요건들에 대한 FIA의 트레이닝 세션을 이수해야 합니다.
  • 지난 3년동안 FIA의 포인트 시스템이 적용된 레이스에서 누적 20점을 획득해야 합니다. 혹은 이전에 슈퍼라이선스를 소지한 적이 있거나 포뮬러 E 챔피언십에서 세 개 이상의 이벤트에 참가했던 적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한 드라이버의 싱글 시터 카테고리에서 낸 성과에 대해 FIA가 그 능력이 지속적으로 입증되었다고 판단하면 위의 사항들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일지라도 대회에 참가가 가능합니다.
추가로, 포뮬러 E 시즌의 드라이버 챔피언은 다음 해에 자동으로 슈퍼 라이선스 자격을 얻게 됩니다.